2010년 12월 30일 목요일

LG스마트폰에 대한 나의 생각

저번에도 글을 올렸듯이 LG는 옵티머스 마하, 옵티머스2X같은 스마트폰을 출시하거나 출시할 예정이고 앞으로도 계속 출시할 것입니다.
하지만 왜 LG가 스마트폰에서 아직까지도 주춤하고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일단 대응 자체가 늦었습니다.
아이폰4가 출시된 지 얼마 후, LG는 국내에서 두번째로 안드로이드폰인 안드로1을 내놓았죠. 하지만 안드로1은 디엠비등 국내 제조사의 장점도 살려놓지 못하고 구형 운영체제로 소비자의 외면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두번째 폰도 그렇게 쿼티를 탑재한 옵티머스Q를 내놓았습니다.
처음에는 좋은 스펙과 괜찮은 가격으로 판매가 좋았으나 LGU+라는 통신사의 빈약한 스마트폰 소비자층과 빠른 단종으로 그렇게 아주 많이 팔린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세번째 폰은 옵티머스 큐에서 쿼티자판을 뺀 모델인 옵티머스Z를 이번에는 SKT로 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때에는 흔했던 1기가헤르츠 CPU에 3인치대 화면의 스펙, 디자인 빼고는 별달리 유별날 것이 없었던 것 때문에 부진을 면치 못했죠.
그리고 이제 LG는 처음으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은 옵티머스원을 내놓습니다.
그당시에는 흔치 않았던 보급형 스마트폰이라는 타이틀로 말이죠.
그리고 시장 반응도 좋았습니다.
국내 시장에는 30만대, 해외 시장에는 100만대가 팔렸다고 하니 꽤 괜찮은 성과죠.
그리고 LG는 이제 다시 LGU+에 다시 고급형 스마트폰을 내놓습니다.
옵티머스마하죠.
그리고 이제 옵티머스2X와 옵티머스B등을 출시예정으로 하여 고급형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과연 LG는 피쳐폰에서 그랬던 것처럼 스마트폰에서도 강자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까요?
스마트폰에서도 강자의 위엄을 떨치는 LG의 모습을 기대해 봅시다.

옵티머스2x프리뷰(lg optimus 2x)


안녕하세요.
이번에 처음으로 블로그에 글을 올리네요.
우선 그 테잎을 끊을 옵티머스2x에 대한 글을 올리겠습니다.
잘 봐주시길 바랍니다.
우선 옵티머스2x는 lg의 야심작으로 듀얼코어 cpu를 탑재하여 기존보다 더욱 빠른 속도를 가졌다고 합니다.
국내용과 해외용이 따로 있는데 제 생각에는 국내용이 더욱 디자인이 맘에 드는군요.
우선 스펙은
크기: 123.9*63.2*10.9mm
디스플레이: 4,0inch WVGA(480*800) IPS TFT LCD
CPU: NVIDIA Tegra2 1GHZ Dual-core 프로세서
메모리: 램 512메가(DDR2), 유저메모리 16기가
터치: 정전식 멀티터치
카메라: 800만 화소(AF-자동초점, LED 플래시)
              동영상: HD 1080P지원
운영체제: 안드로이드2.2 플랫폼(프로요)
정도입니다. 여기서 메모리가 DDR2라...
스카이의 베가X에서 차별점을 둔 것인데요.
이제 스카이는 베가X에서 과연 어떤 차별점을 찾을 까요?
그리고 아까도 말했듯이 CPU가 듀얼코어입니다
(여기서 듀얼코어란 CPU안에 코어가 2개 있다는 것입니다.
두뇌가 두개라면 당연히 속도가 빨라지겠죠.)
그리고 카메라가 800만 화소라고 하네요.
과거 초콜릿4폰에 탑재한 카메라와 동일한 화소수인데요.
과연 어떨지 기대해 볼 부분입니다.

이번에는 갤럭시S(살짝 구형이지만 동급이 얼마 많지 않아서...)
와 비교해 안좋은 점을 볼까요?
우선 두께가 10.0mm로 갤럭시s보다 1mm두껍네요.
(아이폰4보다 앏다는 옵티머스b를 보면 얇게 만드는 기술을 있는 것 같은데 왜이렇게 했을까요? 듀얼코어라 그러나??(긁적긁적))
그리고 화면이 wvga급이네요. 그리고 TFTLCD
베가x나 다른 폰도 hd로 잘 가지 않네요.
(갤럭시s는 hd급 슈퍼 아몰레드입니다.
예전에 어머니 친구분 것을 봤을 때 상당히 선명했습니다.)

여기까지 옵티머스2X를 살펴보았는데요.
듀얼코어를 탑재하여 빠른 속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제 2011년에는 갤럭시S와 같이 4인치대 화면크기의 여러가지 제품이 출시가 되어 시장 경쟁이 더욱 뜨거워질 전망인데요.
과연 옵티머스2X는 LG전자를 부활시킬 수 있을까요?